나보다 더 부적당하고 무능한 사람을 찾아 내셨다면
주님은 분명 그를 택하셨을 것입니다.
(복자 알베리오네 신부)
(복자 알베리오네 신부)
“자, 바로 여기에 겸손하고 과묵하고 지칠 줄 모르며, 언제나 주의 깊고 침착하며, 모든 일을 기도로 시작하는 분이 계십니다. 그분은 시대의 표징에 민감하여 사람들의 내면 깊이 파고들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곧 현대에 상응하는 강력하고 광범위한 사도직 수단을 교회 안으로 들여왔습니다.” (성 바오로 6세 교황)
성바오로수도회를 비롯하여 바오로가족의 10개의 단체를 설립한 창립자 알베리오네 신부는 1884년 4월 4일 이탈리아 북부지역인 성로렌조라는 마을에서 태어났습니다.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는 밤, 알바의 주교좌 성당에서 밤샘 성체조배를 하던 중 결정적인 빛을 받게 되었고, 그는 시대적 요청을 알아듣는 혜안으로 이 특수한 사명을 받아들였습니다.
“그것은 ‘사회 홍보수단을 통한 복음화’, 곧 현대문명이 제공하는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가장 신속하고 가장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파하는 특수한 사명입니다.”
1907년 사제 서품을 받고 신학박사가 된 후 알바 신학교에서 강의와 함께 영적지도를 담당하였고, 1913년 9월 8일 이탈리아 교구에서 최초로 발행된 주간신문 “가제타 달바(Gazzetta d’Alba)”의 책임을 맡으면서 출판계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을 인식한 알베리오네 사제는 이듬해 인정받던 교구사제로서의 직무를 내려놓고,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진 직후 난관의 절정기, 1914년 8월 20일 알바에서 전세집을 빌려 몇몇의 소년들과 함께 ‘작은 노동자 인쇄학교’라는 이름으로 성바오로수도회를 시작하여 바오로가족의 역사가 시작되었습니다.
알베리오네 신부가 대중매체를 이용한 사도직을 시작한지 반세기가 지난 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초대되었고, “매스 미디어에 관한 교령”(Inter Mirifica, 1963)에 공헌하였으며, 교회 안에서 전 생애를 바쳐 투신한 사회 커뮤니케이션수단 사도직의 공로를 인정받아 1969년에 교황 바오로 6세로부터 훈장을 받게 됩니다.
알베리오네 신부는 사도 바오로처럼 열정적인 활동가였으며 동시에 깊은 영성가요 관상가였습니다. 1971년 선종할 때까지 매일 새벽 3시 30분에 일어나 기도를 바쳤던 그는 “기도를 최우선 순위에 올려놓지 않는 사람은 수도자라 불릴 자격이 없으며 사실 수도자도 아니다.”라며 기도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하느님의 업적은 하느님의 사람이 되는데 있으므로” 교회에 충실하고 효과적인 봉사자로서 활동하기 위해 가장 먼저 성인이 되라고 강조하셨다. 그는 생명이 꺼져가는 순간, 자신의 호흡이 되어 버린 묵주기도를 바치며 생을 마무리 했습니다.
그는 사도 성바오로와 같은 왕성한 활동력으로 시대의 미래를 바라본 예언자적인 삶을 살다가 1971년 11월 26일 87년간의 삶을 마치고 하느님의 품에 안겼습니다. 그의 유해는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성바오로수도회 총원의 ‘사도의 모후 성당’의 지하 묘소에 안치되어 있으며, 2003년 4월 27일 복자품에 올랐으며,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 알베리오네 신부를 ‘인터넷의 주보성인’으로 선포되었습니다.
“인간은 언제나 자기 활동에 대해 많은 불완전함, 결점, 오류, 부족과 의심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 모든 것을 하느님 자비의 손에 맡기고 인도하시도록 자신을 의탁해야 한다. 그는 결코 섭리의 손길을 강요하지 않았으며, 하느님의 표지를 기다렸다’는 것이다.”(Adds, 45)
2024년 11월 6일 연중 제31주간 수요 묵상
창립자 복자 야고보 알베리오네 신부님께서 1955년에 하신 묵상 계속입니다
묵주기도
지난주 계속입니다
그러므로 비록 묵주기도의 신비 하나 하나를 묵상하지 못하더라도 실천적인 가르침에는 ‘나는 성성이요 사도직인 나의 모든 성소에 상응하기를 원합니다. 나는 나의 내적 작업에 최선을 다하고 싶고, 나의 기도의 사도직, 좋은 모범의 사도직, 거룩한 말씀의 사도직을 잘 완수하기를 원합니다. 예수님처럼 그리고 마리아처럼 나는 사람들을 위로하기를 원하는 동시에 고통을 겪고, 또 나아가 그들을 위하여 죽기를 원합니다.’라는 원의가 함축되어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결국 기억해야 할 실천적인 가르침은 성성과 사도직이라는 이중의 성소에 상응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로 15단의 신비를 바치는 가운데 청해야 하는 은총, 일반적인 은총이 있습니다. 저는 지금 묵주기도의 신비에 대해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사도직 중에 묵주기도를 바칠 때 각 신비 마다 묵상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신비 안에서 한 가지 진리를 숙고할 때 묵주기도를 더 잘 묵상하게 되고, 한 가지 덕을 배우게 되고, 한 가지 은총을 청하게 됩니다. 그 대신에 모든 신비를 한꺼번에 생각할 때 우리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은총을 구해야 합니다. 곧 수녀는 또 다른 마리아가 되고, 사제는 또 다른 예수님이 되는 은총입니다. 수녀와 사제는 마리아와 예수님께서 세상 구원이라는 구속 사명을 이루신 것처럼 사명을 완수해야 합니다.
사제와 수녀의 일치는 마리아와 예수님 사이의 일치에서 모범을 발견해야 합니다. 이러한 일치를 어떻게 완수해야 하는지 보십시오.
내적으로 동정이여야 하고, 동정을 지킬 뿐만 아니라 더 가치있게 하기 위해서 모든 면에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우리의 사도직은 어려운 것이 분명합니다. 오늘날 자주 듣게 되는 가르침, 곧 좀더 세상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물론 선을 행하고 악을 행하지 않기 위해서 세상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세상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세상 곳곳으로 나아가야 하지만, 여러분이 세상의 것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예수님께서 사도들에 대해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제가 세상에 속하지 않은 것처럼 이들도 세상에 속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하느님께 드리는 전적인 봉헌, 곧 동정입니다. 그 의미는 결코 악을, 그 어떠한 종류의 악도 허용하지 말아야 하며, 사랑에 반대되지 않고, 순명에 반대되지 않고, 겸손에 반대되지 않고, 청빈에 반대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동정은 지성, 의지, 마음을 완성시킵니다. 만일 모든 부분에서 이 동정을 살지 않는다면 맛을 잃어버린 소금, 더는 간을 맞추는데 효과가 없는, 존재 가치를 잃어버린 소금입니다. 그런데 소금이 맛을 잃어버릴 때 어디에 쓰이겠습니까? 그렇다면 수녀들과 사제들은 어떤 좋은 일을 할 수 있겠습니까?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세상의 소금이다. 그러나 소금이 제 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다시 짜게 할 수 있겠느냐? 아무 쓸모가 없으니 밖에 버려져 사람들에게 짓밟힐 따름이다.”
들판에 버려진 소금은 땅을 불모지로 만들어 일정기간 동안 아무것도 자라지 못하게 합니다. 중세 때 야만족들이 한 민족을 정벌할 때 더는 결실을 맺지 못하도록 밭에 소금을 뿌렸습니다.
그러므로 참된 성인들이 되어야 합니다. 지성의 성인, 의지의 성인, 그리고 마음의 성인이 되어야 합니다. 늘 성성을 지향해야 하고, 매일의 결심, 주간 결심, 월중 결심, 연중 결심들을 통하여 매일 조금씩 성성을 구축해나가야 하며, 영적 건물을 짓기 위해 벽돌을 하나씩 쌓아 올려야 합니다. 성장해야 합니다.
이제 요약해 봅시다
묵주기도를 잘 바쳐야 하고, 신비 하나 하나를 묵상해야 하며, 깊은 잠심에 이르러야 합니다. 또 각 단의 신비에서 묵상해야 할 한 가지 진리를, 하나의 계명을, 실천적인 가르침을 도출해내야 하고, 주님의 기도 성모송을 바치면서 필요한 은총을 길어내야 합니다.
사도직을 하면서 묵주기도를 바치는 경우에는 묵상을 제대로 할 수 없지만 적어도 세 가지 일반적인 결실을 얻을 수 있어야 합니다.
1) 전체적인 삶의 의미란 무엇입니까? 지상적인 삶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삶은 영원한 삶입니다. 이것이 인생의 개념입니다.
2) 환희의 신비와 고통의 신비를 통하여 천상 성부께서 맡겨주신 사명을 잘 완수하신 예수님과 마리아의 모범을 기억해야 합니다
3) 일꾼들이 부족하여 수확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교회가 충분한 숫자의 거룩한 사제들과 수녀들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님께 청해야 합니다. 추수의 주인께 수확에 좋은 일꾼들을 보내주시도록 기도하십시오